1. Flux: Redux, Zustand
📍 Redux 장점:
- 예측 가능한 상태 관리:
- Redux는 상태 변경을 액션과 리듀서를 통해 처리하므로, 어느 시점에서 어떤 액션이 디스패치되어 상태가 어떻게 변경될지 명확하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. 이는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변화를 이해하고 추적하기 쉽게 만들어, 디버깅과 테스팅에 유리합니다.
- 강력한 개발 도구:
- Redux DevTools는 액션 로깅, 상태 변화 추적, 시간 여행 디버깅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개발자가 상태 변화를 더 잘 이해하고 디버깅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.
-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 적합:
- Redux는 상태를 글로벌 스토어에 저장하여 애플리케이션 전체에서 접근 가능하게 만듦으로써,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.
📍 Redux 단점:
- 보일러플레이트 코드:
액션 타입 선언, 액션 생성자, 리듀서 등 Redux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초기 설정과 구조가 많으며, 이는 특히 작은 프로젝트나 초보 개발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.
- 복잡성:
애플리케이션 규모가 커짐에 따라 리듀서, 미들웨어, 액션 등의 관리가 복잡해질 수 있으며, 상태 트리가 방대해질 경우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관리하는 일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.
📍 Zustand 장점:
- 간단한 API:
Zustand는 몇 줄의 코드만으로 상태 관리를 설정할 수 있으며, 사용법이 매우 간단하여 빠르게 상태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.
- 중앙 집중식 및 분산 상태 관리:
Zustand는 전역 상태 관리뿐만 아니라 컴포넌트 내부에서의 로컬 상태 관리도 가능하게 하여, 다양한 상태 관리 요구사항을 유연하게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.
📍 Zustand 단점:
- 대규모 프로젝트에서의 관리:
Zustand의 단순한 API와 유연성은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상태 관리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으며,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질수록 상태를 효과적으로 구조화하고 관리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.
2. Atomic: Recoil, Jotai
📍 Recoil 장점:
- 컴포넌트 기반 상태 관리:
Recoil은 React의 컴포넌트 트리에 상태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,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상태 로직을 컴포넌트와 밀접하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.
- 상태 구독 최적화:
Recoil은 컴포넌트가 필요한 최소한의 상태만 구독하도록 함으로써, 불필요한 컴포넌트 재렌더링을 방지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킵니다.
- 동적인 상태 관리:
Recoil의 독특한 "atoms"와 "selectors" 개념을 통해 동적인 상태 관리와 파생 상태 생성이 용이해집니다.
📍 Recoil 단점:
- 학습 곡선:
Recoil의 개념과 API가 React의 기본적인 상태 관리 방법과 다르며, 새로운 개념을 학습해야 하므로 초보 개발자나 다른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에 익숙한 개발자에게는 학습 곡선이 있을 수 있습니다.